Ongoing Projects
Former Projects
지능형 바이저 기반 오감플러스 ICT 융합연구
기간 2018.04.01 – 2018.11.30
주관기관 한국연구재단(참여)
본 연구에서는 센서 + IoT + AR + AI가 융합된 오감플러스 기술 개발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및 환경에 부착된 오감 감지센서로 부터 제공된 오감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고 상호 융합하여 인간의 오감 기능을 증강시켜 지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곁에서 돕는 도우미 역할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을 목표로 한다.
5G-MOVE: 5G Mobility Orchestration in Virtualized Environments
기간 2016.07.01 – 2017.06.30
주관기관 삼성전자
본 프로젝트는 다양한 5G 어플리케이션이 주도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우선적인 기술개발 과제로서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위에 여러 개의 가상 네트워크 생성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의 모듈 개발을 1년 기간동안 목표로 한다.
유무선 포함 접속 방식에 독립적인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 개발
기간 2015.06.01 – 2020.05.31
주관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DN/NFV(Software Defined Network/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기술은 유무선 네트워킹 및 5G 이동통신을 위한 미래 기술이라는 인식을 넘어서 차세대 인터넷 인프라의 진화 방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는 기존의 액세스 기술마다 고유한 액세스/코어 기술/장비를 가져야 하지만, 차세대 네트워크는 유무선 액세스 기술이 독립된 인터페이스상에서 모든 액세스 기술에 공통된 제어/관리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5G 이동통신을 기반으로 복수의 무선 기술들이 하나의 장비에서 동시에 지원되는 MRC(Multiple Radio Cell) 구조 중심으로 진화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를 기반으로 세계최초로 ‘Carrier-Grade 기가인터넷/WiFi/2G/3G/4G/5G를 통합 지원하는 액세스 독립적 유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글로벌 오픈소스 커뮤니티(ONOS, OPNFV, OpenBTS.org 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율 제어 네트워킹 및 자율 관리 핵심 기술 개발
기간 2014.04.01 – 2019.02.28
주관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oT(Internet of Things),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MANET(Mobile Ad-hoc NETwork) 등의 출현으로 지금보다 수백~수천 배 큰 대규모 네트워크가 생성될 것이다. 여기서 발생하는 대용량의 트래픽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큰 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서버부하, 접속속도 저하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현재 분산 환경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관리 플랫폼으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효율적인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관리자의 최소 개입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진화된 중앙집중 환경(SDN 환경)의 생체모방형 자율 제어/관리 핵심기술을 연구한다. 이를 통해 생체모방 자율 제어 시스템 및 자율 관리/통합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클라우드 플랫폼 핵심 SW 기술 연구
기간 2012.01.16 – 2014.12.31
주관기관 삼성전자
최근의 컴퓨팅 환경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관련 핵심 기술 대부분이 국외 솔루션을 차용하고 있다. 본 과제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위한 서버, 네트워크, 단말 기술을 확보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핵심 SW 기술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마트TV 2.0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간 2011.12.01 – 2016.11.30
주관기관 지식경제부
IT기술의 중요성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옮겨가면서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 중 스마트TV 산업은 무한한 발전 가능성과 거대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산업으로 어떤 분야보다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에 대한 확보가 요구된다. 본 과제에서는 미래의 스마트TV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이 될 D2D 네트워킹 기능 및 사용자 콘텍스트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 M2M/WSN 액세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원천 기술을 연구한다.
삼성전자 클라우드 프로젝트
기간 2011.06.14 – 2011.10.13
주관기관 삼성전자
첨단 인터랙션을 위한 기반 SW 융합기술 연구
기간 2010.09.01 – 2019.04.30
주관기관 교과부(책임)
본 과제는 IT 컨버전스 환경에서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위한 기초원천 기술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총 3단계 9개년도 중, 현재 3단계 2차년도이며, 각 세부별 기반 인터페이스 및 응용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소프트웨어 기초·원천 기술을 연구하여 유비쿼터스 응용 및 소프트웨어 융합에 적합한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컨버젼스 연구소는 IT컨버젼스 환경에서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위한 기초·원천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인터랙션 응용을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응용 플랫폼 환경에서 개발된 인터랙션 기술의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여러 분야에서 개발된 인터랙션 기술을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 융합에 중점을 둔다.
SW 기초원천 기술개발 사업
기간 2010.07.01~2014.06.30
주관기관 교과부(참여)
Super Mobile 구현을 위한 시스템 SW 원천기술 연구
기간 2010.07.01 – 2015.06.30
주관기관 교과부(세부책임)
미래인터넷 환경에서 모바일 단말에게 끊김 없는 글로벌 이동성을 제공하는 핵심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미래인터넷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또한 여러 계층들의 이동성 기술을 포괄하는 시스템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이동성 기술에 대한 연구 수행 및 핵심 원천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한다.
산학협력중심대학육성사업
기간 2009.7.1–2010.4.30
주관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참여)
WCU (World Class University) 사업: 인터랙션 사이언스
기간 2008.12.01 – 2013.12.31
주관기관 교과부(참여)
인간중심의 정보통신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인터랙션 이론과 원친 기반기술 연구를 통해서 인터랙션 이론 모델화와 응용기술 확보하고 모델화된 이론과 응용기술의 산업계 이전을 목표로 한다.
모바일 웹 서비스 기반 IP-USN 구현을 위한 선행기술 연구
기간 2008.07.17 – 2009.1.31
주관기관 삼성전자
IP-USN 연동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KOREN에서의 활용
기간 2008.07.01 – 2008.12.31
주관기관 한국정보사회진흥원(참여)
고용계약형 SW석사과정 지원사업
고용계약형 SW석사과정 지원사업
기간 2008.6.2 –2008.12.31 정통부(참여)
2009.1.1 –2009.12.31 정통부(참여)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공동)
휴대 단말 기반 다중 센서네트워크 구성 및 서비스 Discovery 기술 개발
기간 2007.06.01 – 2007.12.31
주관기관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 통신연구소(책임)
유비쿼터스 응용을 위한 지능형 서비스 환경 모델링
IT교수요원/해외교수요원초빙사업
기간 2007.3.1 – 2007.12.31
2008.1.1 – 2008.12.31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공동)
퍼스널 Life Log 기반 지능형 서비스 기술개발
기간 2006.08.01 – 2007.01.31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위탁)
블루오션형인력양성사업
기간 2006.08.01 – 2007.02.28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참여)
멀티 호밍 NEMO 시험환경의 구축을 통한 다중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바일 네트워크 신뢰성, 보안성, 효율성 연구
기간 2006.03.01 – 2009.02.28
주관기관 한국과학재단(참여교수)
유비쿼터스 인프라의 보안성과 신뢰도 향상지원을 위한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간 2006.03.01 – 2008.02.29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책임)
BK21 정보기술 분야 밀착형 산학협력 인재양성 사업단
기간 2006.03.01 – 2013.02.28
주관기관 학술진흥재단(참여교수)
세계적 수준의 대학원 육성과 우수한 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석ㆍ박사과정생 및 신진연구인력(박사후 연구원 및 계약교수)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H/W & Network System 도입 컨설팅
기간 2005.12.28 – 2006.01.26
주관기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책임교수)
액세스 PON 연동 WDM 백본 환경에 고이용률 저비용의 QoS인지 자원분배에 관한 연구
기간 2005.12.01 – 2006.11.30
주관기관 학술진흥재단(참여)
유비쿼터스 응용을 위한 HCI 기반 기술연구
기간 2005.10.01 – 2013.12.31
주관기관 지능형HCI융합연구센터(센터장)
HCI 기반 기술연구는 인간의 오감정보를 이용한 상호작용 기술,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의 학습 및 추론 기술에 따른 지능형 정보관리, WSN/RFID 환경 엑세스 서비스 망 기술 그리고 HCI지원의 유비쿼터스 응용 플랫폼 기반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에 필요한 핵심 기술 개발을 수행 중이다.
차세대통신망/광대역통합망상에서 QoS 보장트래픽엔지니어링 연구
기간 2005.09.01 – 2006.02.28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책임)
기상 정보 시스템을 위한 e-Science 환경 구축
기간 2005.06.01 – 2007.01.31
주관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참여)
국가간 실시간 방재자료생산 및 데이터 엑세스 기술개발
기간 2005.01.01 – 2005.11.30
주관기관 한국전산원(책임)
텔레매틱스 요소 기술 연구
기간 2004.09.01 – 2005.08.31
주관기관 텔레매틱스 요소기술 연구센터 (제주ITRC, 참여)
지능형 인지기반 가정, 주택단지 무구속성 보안 및 접근제어 기술 개발
기간 2004.09.01 – 2007.08.31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참여)
차세대 인증 및 데이터 접근 제어 기술
기간 2004.08.01 – 2005.07.31
주관기관 정보보호 인증기술 연구센터 (ITRC, 참여)
람다(λ: Lambda) 네트워킹을 위한 고품질 고신뢰도 리소스 관리 기술
기간 2004.06.15 – 2006.06.14
주관기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책임)
광대역 분산 미들웨어 기반 고속전송기술 개발
기간 2004.05.01 – 2005.02.28
주관기관 중소기업청(책임)
국가간 실시간 방재자료생산 및 데이터 엑세스 기술개발
기간 2004.01.01 – 2004.11.30
주관기관 한국전산원(책임)
국가간 실시간 방재자료생산 및 데이터 엑세스 기술개발
기간 2003.07.15 – 2003.11.30
주관기관 한국전산원(책임)
NGcN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QoS 멀티캐스트 라우팅 알고리즘의 설계 및 평가
기간 2003.06.01 – 2004.05.31
주관기관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연구비(책임)
오픈소스기반 이동형 스토리지 시스템 개발
기간 2003.05.01 – 2004.02.28
주관기관 중소기업청(책임)
고품질(QoS) 모빌컴퓨팅: 모빌인터넷에서 QoS향상을 위한 관리 프로토콜
기간 2003.03.01 – 2006.02.28
주관기관 학술진흥재단 BK21핵심(책임)
CD2W Software 개발
기간 2002.09.01 – 2002.12.31
주관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광전달망 경로 라우팅 알고리즘 평가 모델 연구
기간 2002.08.16 – 2003.02.15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인증기술 개발
기간 2002.08.01 – 2003.07.31
주관기관 정보보호 인증기술 연구센터 (ITRC)
IPv4/IPv6 기반 Interior QoS 라우팅 프로토콜 연구
기간 2002.07.05 – 2003.01.31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참여)
SAN기반 광 스위치개발
기간 2001.03.01 – 2002.02.28
주관기관 ㈜ 네오웨이브(참여)
리눅스 기반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 연구
기간 2001.02.01 – 2001.04.30
주관기관 ㈜ 웹 뷰(참여)
리눅스 클러스터용 파일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기간 2001.02.01 – 2002.01.31
주관기관 ㈜ 웹 뷰(참여)
리눅스 클러스터용 파일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개발현황 및 방법연구
기간 2000.11.01 – 2001.01.31
주관기관 ㈜ 웹 뷰(참여)
내장형 운영체제 기반 개인망 무선 멀티미디어 엑세스 모듈 연구
기간 2000.09.01 – 2003.08.31
주관기관 한국과학재단
액세스 라우터에서의 low-level보안구조
기간 2000.04.01 – 2000.11.30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책임)
무선ATM에서의 관리 알고리즘 연구
기간 1999.12.1 – 2002.11.30
주관기관 학술진흥재단 BK21핵심(참여)
고가용성 모빌 컴퓨팅 연구
기간 1999.11.01 – 2002.10.31
주관기관 한국학술진흥재단 (BK21 핵심사업단)
고속통신 프로토콜 알고리즘II
기간 1999.05.01 – 2000.04.30
주관기관 ㈜천우엔지니어링, 중소기업청(책임)
ATM교환기의 효과적인 패킷관리방법분석
기간 1998.06.01 – 1999.05.31
주관기관 성균관대학교(책임) 석천연구비
고속통신 프로토콜 알고리즘I
기간 1998.05.01 – 1999.04.30
주관기관 ㈜천우엔지니어링, 중소기업청(책임)
ICT명품인재양성사업
Towards Super Sapiens: Superintelligence for Future Human Innovations
기간 2020.07.01 – 2029.12.31
주관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의료와 급격한 기술발달로 야기된 사회문제 해결 및 생명/인체공학에 기반한 인간 삶의 조건을 혁신하고, 인문사회학, 생명의과학, 뇌공학, 지능정보과학 등 학교 강정 연구분야를 융합하여 미래 인간과 사회를 위한 기술을 완성하며, 미래 사회를 선도할 신인류 “Super Sapiens”의 탄생에 필요한 역량과 핵심인자를 보유한 명품인재를 양성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Grand ICT연구센터 지원사업
기간 2015.09.01 – 2020.12.31
주관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새로운 미래 생활 환경에서는 인간 – 컴퓨터 – 사물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라이프로그를 이용한 전생애적 컴퓨팅, 사물의 특성을 고려한 어포든스(affordance) 컴퓨팅, 그리고 개별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customization) 컴퓨팅으로의 변화를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맞춰 시공간의 특정 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와 감성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컴패니온쉽(Companionship)을 형성 및 발전시켜줄 수 있는 ICBM 및 ICT융합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을 목표로 한다.